728x90
명확한 원인 없이 입 마름 및 갈증을 호소하는 환자. 대증치료에도 호전을 보이지 않는 환자...
원인을 찾고 찾다보니 혈압약으로 엠디핀정을 복용 중인 것을 확인. 엠디핀정의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엠디핀정5mg(암로디핀말레산염) Emdipin Tab. 5mg
2) 시판 후 비교적 적은 빈도로 관찰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자율신경계 : 구강건조, 발한증가
(2) 전신 : 무력, 권태감, 통증, 체중의 증가/감소, 오한
(3) 심혈관계 : 저혈압, 체위저혈압, 체위어지럼, 말초허혈, 혈관염, 실신, 빈맥, 말초부종
(4) 중추 및 말초신경계 : 긴장항진, 감각저하/감각이상, 말초신경병증, 미각이상, 진전, 마비
(5) 생식기계 : 발기부전, 여성형 유방
(6) 소화기계 : 배변습관의 변화, 소화불량, 위염, 치은 비후, 췌장염, 구토, 포만감, 식욕부진/증가, 삼킴곤란, 복부팽만감
(7) 대사/영양 : 고혈당, 갈증,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 크레아틴키나아제(CK) 상승
(8) 근골격계 : 관절통, 요통, 근육경련, 근육통, 골격근긴장증가, 관절증, 단일수축, 실조, 등통증
(9) 혈액 및 림프계 :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검사를 행하는 등 관찰을 충분히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10) 정신계 : 불면, 기분변화, 성기능장애, 꿈이상, 이인증, 무감동, 초조, 기억상실, 민감, 우울, 불안, 혼란, 공포, 불쾌감
(11) 호흡기계 : 기침, 호흡곤란, 비염, 코피
(12) 피부 및 피하조직 : 탈모, 자색반병, 피부 변색, 두드러기, 광민감반응, 발진, 발진홍반, 발진반구진, 냉습피부, 모세혈관확장, 피진, 가려움, 혈관부종,독성표피괴사용해
(13) 감각기계 : 이명, 시각이상, 결막염, 복시, 눈통증, 안구건조, 후각이상, 미각이상, 시력저하
(14) 비뇨기계 : 배뇨빈도 증가, 배뇨장애, 야뇨증, 다뇨, 배뇨통
(15) 간담도계 : 간염, 황달, 간효소치의 상승 등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담즙울체성과 관련이 있었다. 입원이 필요할 만큼 중증이었던 일부 경우에서는 암로디핀의 사용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많은 경우에서는 암로디핀과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하다. 간기능장애 임상증상(예, 무력증, 거식증, 오래 지속되는 구역)이 있을 경우 간효소 수치에 대한 측정이 권장된다. 수치가 상승되고 황달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16) 드물게 가려움, 발진, 혈관부종, 다형삼출홍반, 박탈피부염, 피부점막안증후군(스티븐-존슨 증후군)을 포함한 알레르기반응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과민반응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출처 : 드럭인포 플러스
처음 고혈압 진단 및 처방 당시 LMC에서 CCB를 일차 약제로 처방냈던 것으로 추정되고, 그 이후 병원을 옮기셨음에도 기존 처방대로 처방을 받으셨다고 한다.
현재 CCB 에서 ACEi 로 약제 변경 이후 상기 증상들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명확한 원인이 없는 증상들이 지속될 경우, 복용중인 약제들의 이상반응을 확인해보자.
728x90
'공보의(보건소, 보건지소, 병공의) > 진료 처방 삭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kalemia시 치료 (0) | 2023.02.20 |
---|---|
fT4 & TSH 수치에 따른 갑상선기능검사 해석 및 치료 (0) | 2023.02.20 |
자렐토(리바록사반) 복용 환자 INR가 올랐다면? (0) | 2023.02.20 |
탈모치료 (0) | 2022.03.14 |
인공신장실 인증기준 (0) | 2019.08.28 |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처방세트 (0) | 2019.08.27 |